OSI 7계층을 나눈 이유는?

흐름을 한눈에 알아보기 쉽고 7단계 중 특정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다른 단계의 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건들이지 않고도 이상이 생긴 단계만 고칠 수 있기 때문임.

OSI Model 전송 단위

Physical(물리 계층) 비트(Bits)
Data link(데이터 링크 계층) 프레임(Frames)
Network(네트워크 계층) 패킷(Packets)
Transport(전송 계층) 세그먼트(Segment)
Session(세션 계층) 데이터(Data)
Presentation(표현 계층) 데이터(Data)
Application(응용 계층) 데이터(Data)

전송 시 7계층에서 1계층으로 각각의 층마다 인식할 수 있어야 하는 헤더를 붙임(캡슐화)

수신 시 1계층에서 7계층으로 헤더를 떼어냄(디캡슐화)

출발지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헤더가 추가되는데 2계층에서만 오류제어를 위해 꼬리부분에 추가됨.

물리 계층(Physical Layer)

  • 전기적, 기계적, 기능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계층임.
  • 단지 데이터를 전달만 할뿐,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무엇인지, 어떤 에러가 있는지 등에는 전혀 신경 X.
  • 데이터 전송 단위 : 비트(Bit)
  • 대표적인 장치 : 통신 케이브, 허브, 리피터 등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 물리적인 연결을 통해 인접한 두 장치 간의 신뢰성 있는 정보 전송을 담당(Point-to-Point)
  • 물리계층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하여 안전한 정보의 전달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함 → 통신에서의 오류도 찾아주고 재전송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음.
  • Mac주소를 통해 통신함.
  • 데이터 전송 단위 : 프레임(Frame)
  • 대표적인 장치 : 스위치, 브릿지
  • Mac 주소란?예 : 12:34:56:78:90:AB
  • : 무선 LAN 카드 또는 무선 LAN 기능 내장 기기에 개별적으로 부여되는 16진수 12자리의 단말 식별 번호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 주요 기능은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기능(라우팅)
  • 이 계층은 경로를 선택하고 주소를 정하고 경로에 따라 패킷을 전달해줌.
  • 여러 개의 노드를 거칠 때마다 경로를 찾아주는 역할을 하는 계층으로, 다양한 길이의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하며 그 과정에서 전송 계층이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QoS)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적,절차적 수단을 제공함.
  • 라우팅, 흐름 제어, 세그멘테이션, 오류 제어 등을 수행함.
  • 데이터 전송 단위 : 패킷(Packet)
  • 대표적인 장치 : 라우터
  • ⇒ 여러 개의 노드를 거쳐 경로를 찾기 위한 주소는 IP임.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 계층 구조의 네트워크 구성요소와 프로토콜 내에서 송신자와 수진자를 연결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함.
  • 양쪽의 end to end 간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역할을 하는 계층임.
  • 대표적인 프로토콜 : TCP & UDP
  • 상위 계층들이 데이터 전달의 유효성이나 효율성을 생각하지 않도록 해줌.
  • 헤더에 송신지와 수신지의 포트 번호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특정 단위로 쪼개어 전달함.

세션 계층(Session Layer)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CS(Computer science)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 ip, 공인 ip, localhost 구분하기  (0) 2023.08.08

DB연동이나 회사 내부에서 ip때문에 고생하여 자세하게 알고자 정리하고자합니다.

IP란?

  •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이 통하는 네트워크에서 어떤 정보를 수신하고 송신하는 통신에 대한 규약을 의미함

  • IP는 OSI의 Layer 3(Network Layer)와 Internet Protocol Suite의 Layer 3(Internet Layer)에 위치하는 프로토콜

정리

  • 쉽게 말해, 택배를 보낼 때, 받는 사람과 보내는 사람의 주소를 적어서 보낸다. 이때의 받는 사람이 주소를 확인하여 본인에게 온 택배가 맞는지의 작업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공인IP주소

  • 공인IP란 실제 다른 컴퓨터와 통신할 때 쓰는 IP주소이며 IPv4에서는 '1.0.0.0' ~ '223.255.255.255' 까지가 여기에 해당됨.

  • 쉽게 말해, 고유한(유일한) IP 주소 ( 검색창에 내 ip 주소를 검색하면 나오는 IP)

그럼 어디에 쓰일까요?

  • 공인IP를 알고 있다고 해서 통신이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공인IP 주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특정 포트를 열어주어 외부에서 접근이 가능하게 하여 사용한답니다.

사설IP주소

  • 사설IP란 와이파이, 학교 공용 컴퓨터 등을 보면 192.168.XXX.XXX 처럼 아이피가 거의 사설 아이피인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공유기를 사용하는 가정용 컴퓨터에서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음.

그럼 어디에 쓰일까요?

  • 공인IP 처럼 사설IP를 통신할 외부 컴퓨터에 알려줘도 접근이 불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개똥이의 친구 A는 같은 건물의 회사에 다니고 친구 B는 다른 건물의 회사에 다닙니다. 친구 A는 개똥이에게 사설IP를 알려주면 같은 사설망을 사용하고 있어 접속을 할 수 있지만, 친구 B는 접속할 수 없습니다.
    일상 생활로 비유를 들면, 집에 공유기 하나에 3개의 랜선이 연결되어.. 3개의 컴퓨터가 있다면 같은 사설망에 있어 192.168.XXX.XXX라는 주소를 알려주면 접근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옆집에 사는 친구가 접근하려면 공인 IP를 알려줘야 사용이 가능합니다.

localhost

  • localhost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루프백 주소로, 자신의 컴퓨터를 의미한다. 즉, 컴퓨터의 네트워크 기능을 시험하기 위해 '가상으로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할당하는 인터넷 주소'

  • IP주소는 127.0.0.1

외부에서 접근이 가능할까요?

  • 나만이 유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 같은 집에 사는 사람도 접속할 수 없음.

localhost(로컬호스트) 참고
IP란? 참고

'CS(Computer science)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mputer Science] OSI 7 Layer  (0) 2024.03.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