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기초] 공인 IP, 사설 IP, localhost 완벽 정리
2023. 8. 8. 00:38
728x90

IP주소, 공인IP, 사설IP, 그리고 localhost까지 – 실무에서 헷갈렸던 개념 정리

회사 내부에서 DB 연결 시 IP 이슈로 고생한 경험을 바탕으로
IP와 관련된 개념들을 정리했습니다. 이론부터 실무 적용까지, 간단한 비유도 함께 포함되어 있어요!


IP란?

  • IP(Internet Protocol): 인터넷 통신 규약

  • OSI 7계층 중 3계층(Network Layer), 또는 TCP/IP 기준 Internet Layer

  • 주소 역할: 송신자와 수신자의 위치를 식별

    비유: 택배를 보낼 때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주소를 쓰는 것
    → 받는 주소(IP)가 있어야 정확히 전달 가능!


공인 IP 주소 (Public IP)

  • 전 세계에서 유일한 주소

  • 인터넷 상에서 직접 접근 가능한 IP

  • IPv4 기준 범위: 1.0.0.0 ~ 223.255.255.255

    어디에 쓰일까?

  • 외부에서 내 서버로 접속할 수 있게 하려면 이 IP가 필요

  • 하지만, 포트가 열려 있어야 접속 가능

    예:

  • AWS EC2, 회사 서버 등 → 13.124.xxx.xxx:3000

  • 검색창에 "내 IP 주소"를 검색하면 나오는 값


사설 IP 주소 (Private IP)

  • 로컬 네트워크에서만 유효한 IP

  • 주로 가정용/회사/학교에서 공유기 뒤에 연결된 장비들이 사용

  • 대표 대역:

    • 192.168.x.x
    • 10.x.x.x
    • 172.16.x.x ~ 172.31.x.x

    어디에 쓰일까?

  • 같은 네트워크(=같은 공유기 아래)에 있는 장비끼리 통신

  • 외부에서는 이 IP로 절대 접근할 수 없음

    비유:

  • 집에 3대 컴퓨터가 공유기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면
    → 각 컴퓨터는 192.168.x.x의 사설 IP를 가지고 서로 접근 가능
    → 하지만 옆집 친구는 접근 불가 (공인 IP 필요)


localhost

  • 내 컴퓨터 자신을 가리키는 특수 주소

  • IP 주소: 127.0.0.1

  • 네트워크 기능 테스트 용도로 사용

  • 외부에서는 접속 불가

    비유:

  • 자기 자신한테 편지를 쓰는 것

  • 같은 집에 있는 사람도 접근할 수 없음


요약 정리

개념 설명 외부 접속 가능 여부
공인 IP 전 세계에서 유일한 IP 주소 포트가 열려 있다면 가능
사설 IP 로컬 네트워크 전용 IP 같은 네트워크에서만 가능
localhost 자기 자신을 가리키는 루프백 주소 오직 본인만 가능

참고 링크


728x90